맨위로가기

잣골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잣골 전투는 한국 전쟁 중인 1953년 3월과 4월에 강원도 철원군 근북면 백덕리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잣골은 철의 삼각지대 중심부에 위치하여 유엔군과 중국 인민지원군 모두에게 중요한 통신 거점으로 여겨졌다. 주요 전투는 3월 8일~9일 캐롤 초소 탈환, 3월 13일 앨리스 초소 탈환, 4월 7일~8일 룩셈부르크군 베링어 병장의 활약, 4월 18일~19일 B 중대 방어전 등으로, 유엔군 측의 벨기에군과 룩셈부르크군이 참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룩셈부르크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중공군 춘계공세
    중공군 춘계 공세는 1951년 4월부터 5월까지 중공군이 주도한 한국 전쟁 공세로, 유엔군을 몰아내고 서울을 점령하려 했으나 유엔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전선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
  • 룩셈부르크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학당리 전투
    학당리 전투는 한국 전쟁 중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가 중공군의 공세를 격퇴하고 강원도 철원군 일대의 388고지를 사수하여 벨기에 대대가 "학당리" 표창을 수여받은 전투이다.
  • 1953년 3월 - 제25회 아카데미상
    1953년 2월 9일에 열린 제25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은 로널드 레이건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텔레비전으로 처음 방송되어 약 4천만 명이 시청했고, 《지상 최대의 쇼》가 작품상을, 존 포드가 《콰이어트 맨》으로 감독상을, 가리 쿠퍼와 셜리 부스가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1953년 3월 - 이오시프 스탈린의 죽음과 국장
    이오시프 스탈린은 1953년 사망 후 레닌 묘에 안치되었으며, 장례식에서 압사 사고가 발생했고, 사후 권력 투쟁을 거쳐 집단 지도체제가 부활했다.
  • 벨기에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 벨기에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중공군 춘계공세
    중공군 춘계 공세는 1951년 4월부터 5월까지 중공군이 주도한 한국 전쟁 공세로, 유엔군을 몰아내고 서울을 점령하려 했으나 유엔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전선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
잣골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한국 전쟁
시기1953년 2월 26일 – 1953년 4월 21일
위치"철의 삼각지대" 남북한 국경
결과국제 연합의 승리
교전 세력
국제 연합벨기에
룩셈부르크
미국
중국중국
지휘관
국제 연합G. 스마이트 소장
R. 가티 중령
중국미상
병력 규모
국제 연합보병 대대 1개
중국규모 다양 (소규모 그룹부터 대대 또는 연대 규모)
부대
국제 연합미국 3 보병 사단
벨기에 대대
중국미상
사상자
국제 연합전사 24명, 부상 18명 이상, 실종 2명
중국미상

2. 위치

전투 지역은 철원군 근북면 백덕리 일대(38°-19′-39.7″N / 127°-24′-13.0″E)이다. 잣골(Chatkol, 때로는 "Chat-kol")은 남쪽의 철원군김화군, 북쪽의 평강군 사이의 철의 삼각지대 중심부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었다.[5]

잣골은 철의 삼각지대를 통과하는 북동쪽으로 뻗은 철도와 가깝기 때문에 UN군과 중국군 모두에게 결정적인 통신 거점으로 여겨졌다.[6]

3. 지형 및 전략적 중요성

잣골은 철원군, 김화군, 평강군 사이에 형성된 철의 삼각지대 중심부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었다.[5] 이 지역은 철의 삼각지대를 통과하는 북동쪽 철도와 인접해 있어, 유엔군과 중공군 양측 모두에게 중요한 통신 거점으로 여겨졌다.[6]

잣골 전투의 방어선은 백마고지 산줄기에서 시작하여 '부메랑'이라 불리는 방어 시설을 통해 잣골과 산동리 마을을 북쪽에서 동쪽으로 감싸는 형태로 구축되었다.[7]

3. 1. 잣골

잣골(Chatkol, 때로는 "Chat-kol")은 철원군, 김화군, 평강군 사이 철의 삼각지대 중심부에 있던 작은 마을이었다.[5] 잣골은 철원군 근북면 백덕리(38°-19′-39.7″N / 127°-24′-13.0″E)에 위치했다.

잣골은 철의 삼각지대를 통과하는 북동쪽 철도와 가까워 UN군과 중공군 모두에게 중요한 통신 거점으로 간주되었다.[6]

3. 2. 방어선

잣골 전투의 방어선은 백마고지 산줄기에서 '부메랑'으로 알려진 방어 시설로 잣골과 산동리 마을을 북쪽에서 동쪽까지 둘러쌌다.[7] 방어선 북쪽에는 '앨리스', '바바라', '캐롤'이라는 세 개의 초소가 있었다.[8] 각 초소의 첫 글자는 벨기에 군의 어떤 중대가 그곳을 방어하는지를 나타냈으며, 중화기 중대는 '부메랑'의 동쪽 호를 방어했다. 벨기에 지휘소는 참호선 북서쪽의 산동리에 설치되었다.

각 초소에는 낮에는 3명, 밤에는 중국 인민지원군(PVA)의 공격이 선호되는 시간인 10명 이상의 병력이 배치되었다. 주요 진지와 초소 자체는 벙커와 참호선을 포함하여 튼튼하게 건설되어 방어하기 용이했다.[9]

동쪽에서는 벨기에군 진지가 대한민국 육군 제9보병사단과 접경했다.

4. 주요 전투 경과

1953년 3월부터 4월까지 한국 전쟁에서 벨기에군과 룩셈부르크군 연합 부대가 중국인민지원군에 맞서 싸운 잣골 전투의 주요 경과는 다음과 같다.

4. 1. 1953년 3월 8일 ~ 9일: 캐롤 초소 탈환

''캐롤 초소''는 방어선의 북쪽 구역 최우측 취약 지점에 위치해 있었으며, 벨기에군 전선에서 200m 앞에 있었다.[10] 100명 이상의 중국인민지원군 병사들에게 기습을 받았을 당시, ''캐롤 초소''는 7명의 병사와 2정의 기관총으로 운용되고 있었다. 벨기에군은 가까운 중국인민지원군 진지에서 쏟아지는 강력하고 정확한 포격으로 인해 즉시 초소 상실에 대응할 수 없었다.[11]

다음 날 아침 06시 45분, 미국 포병의 지원과 연막 엄호 아래, 벨기에군은 공격을 감행하여 해당 진지를 성공적으로 탈환했다. 이 작전에서 벨기에군은 5명이 전사하고 17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중국인민지원군 측의 손실은 25명 전사, 40명 부상으로 추정된다.[12]

4. 2. 1953년 3월 13일: 앨리스 초소 탈환

'''앨리스 초소'''는 00시 15분에 포격 공격을 받았고, 이어서 중공군 보병의 대규모 공격이 시작되었다. 퇴각 중 앨리스 초소 수비대 소속 병사 1명이 실종되었다. 앨리스 초소 탈환 후, 실종된 병사를 찾기 위해 수색대가 파견되었다. 06시까지 부상당한 병사가 전선으로 기어오는 것이 발견되어 헬리콥터로 MASH 병원으로 후송되었다.

4. 3. 1953년 4월 7일 ~ 8일: 룩셈부르크군 베링어 병장의 활약

룩셈부르크 부대의 부사관인 레이몬드 베링어 병장중공군의 돌파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M1917 브라우닝 기관총을 벙커 지붕으로 옮겨 넓은 사격 범위를 확보했다.[13] 전투 후, 그의 벙커 200m 이내에서 20명 이상의 중공군 시신이 발견되었다.[14] 베링어 병장은 이 공로로 미국 동성 훈장을 수여받았고, 은성 훈장도 추천받았으나 서류 분실로 1992년에야 수여받았다.

4. 4. 1953년 4월 18일 ~ 19일: B 중대 방어전

B 중대는 공격을 받았고, 포격으로 윌렘 훌르브뢰크(Willem Hullebroecknl) 하사의 기관총과 진지가 파괴되었다. 훌르브뢰크 하사는 무너진 진지를 떠나 부상당한 전우의 무기를 가져와 즉시 전투를 재개했다.[1]

Order of the Day
Order of the Day - W. Hullebroeck

참조

[1] 문서 As at the [[Battle of Haktang-ni]] in October 1951, the Battle of Chatkol coincided with a period of troop rotation in the Luxembourg detachment. The majority of the soldiers in the ''Second Luxembourg Detachment'' returned home by ship in January 1953, arriving in March. However, several Luxembourg soldiers (including Cpl. Beringer, who would distinguish himself during the action at Chatkol) remained in Korea after the end of their official tour, included in Belgian units. Their flag is thus included for completeness, even though there was (strictly speaking) no Luxembourg ''unit'' present.
[2]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Korea 1950-1955 Brussels 2011
[3] 웹사이트 Korean War Educator: Topics - National Archives Records - RIP 103 http://www.koreanwar[...]
[4]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Korea 1950-1955 Brussels 2011
[5] 웹사이트 Map: Iron Triangle, Korean War https://www.flickr.c[...] 2009-06-25
[6] 서적 Belgians Can Do Too! The Belgian-Luxembourg Battalion in Korea 1950-1955 Brussels
[7] 웹사이트 The Chatkol battles https://web.archive.[...] 2012-06-20
[8] 서적 Bérets Bruns en Corée 1950-1953 (Vécu Par Des Belges)
[9] 서적 Bérets Bruns en Corée 1950-1953 (Vécu Par Des Belges)
[10] 서적 Bérets Bruns en Corée 1950-1953 (Vécu Par Des Belges)
[11] 웹사이트 The Chatkol battles https://web.archive.[...] 2012-06-20
[12] 웹사이트 The Chatkol battles https://web.archive.[...] 2012-06-20
[13] 웹사이트 Battle Credits-Society of the 3rd Infantry Division.-Page 3 https://web.archive.[...] 2012-07-10
[14] 웹사이트 Battle Credits-Society of the 3rd Infantry Division.-Page 3 https://web.archive.[...] 2012-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